본문 바로가기
저작권/저작권

논문 출처 표기법 알아보기

by 권오갑변호사 2017. 7. 18.

논문 출처 표기법 알아보기




대학생 분들이라면 레포트나 논물을 쓸때마다 출처표기 방법에 대해 골머리를 앓게 되곤 하는데요.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논문 출처 표기법에 대한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대학생 분들의 과제나 논문작성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논문 출처 표기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논문의 경우 출처표기에 상대적으로 민감하다 보니 각별히 주의해 출처를 표기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복잡한 것은 아닌데요. 하나씩 차근차근 설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사를 참고하였을 경우입니다. 기사를 참고할 경우 가사의 제목과 발행일, 신문사 명, 작성한 기자의 이름을 표기하면 되는데요. 이는 보통 기사 하단에 표기되어 있기에 쉽게 작성 가능합니다. 





기사 외에 자주 사용하는 참고 대상에는 도서나 학술 논문이 있습니다. 도서의 경우 출판사와 참고하는 페이지의 저자 등을 표기해야 하는데요. 주나 각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저작자의 이름, 책의 제호, 발행기관, 판수, 발행연도, 해당페이지를 빠짐없이 표시해야 합니다. 


번역 등 2차적 저작물의 경우 번역자만을 표시하기 쉽지만 원저작자의 이름과 제호를 표시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만 올바른 논문 출처 표기법을 숙지했다고 할 것입니다. 





많이 사용되진 않지만 유명인들의 연설이나 신문 등 정기간행물의 논설, 해설을 논문에 참고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요. 이 역시 올바른 논문 출처 표기법에 따라 표기를 해야만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연설의 경우 연설자의 성명과 함께 연설이 행해진 때와 장소를 밝혀야 하며 신문 등의 기사나 논설, 해설 등을 사용할 경우 인용부분이 본문과 구별될 수 있는 정도의 식별표시를 하고 출처도 저작자의 이름과 저작물의 제호만 명시하면 출처표시를 한 것으로 보기에 학술 논문 등을 인용할 때에 비해 간단히 인용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논문 출처 표기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대학생분들이 논문 출처 표기법을 익혀둘 경우 이후 각종 과제물이나 논문 등을 제출할 때 유용하게 활용가능합니다. 


또한 잘못된 출처 표기로 인해 저작권법 위반 혐의를 받는 것도 예방할 수 있는데요. 만약 저작권 관련 문제로 상담을 필요로 하실 경우 저작권전문변호사인 권오갑변호사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