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재산권

지식재산권 분쟁 직무발명 중심으로

by 권오갑변호사 2015. 9. 15.

지식재산권 분쟁 직무발명 중심으로

 

지식재산권 분쟁에 대해 산업재산권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신청 가능하며, 직무발명 사전승계 약정 등의 적용을 받는 종업원 등이 직무발명을 완성하고도 그 사실을 사용자 등에게 알리지 아니한 채 발명에 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제3자의 적극 가담 아래 이중으로 양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3자가 특허권 등록까지 마친 경우 위 직무발명 완성사실을 알게 된 사용자 등으로서는 종업원 등에게 직무발명 사전승계 약정 등에 따라 권리 승계의 의사를 문서로 알림으로써 위 종업원 등에 대하여 특허권이전등록청구권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위 이중양도는 민법 제103조에서 정한 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로서 무효이므로, 사용자 등은 위 특허권이전등록청구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하여 종업원 등의 제3자에 대한 특허권이전등록청구권을 대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주요법률로서는 특허법, 실용신안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저작권법이 있는데, 이러한 법률의 일반법적 성격의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에 관한 법률,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 등이 있고 이러한 지식재산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법으로서 발명진흥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적재산에 관련된 법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특허법은 발명 즉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고도한 것을 말하고, 실용신안법은 고안 즉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을 말합니다.

 

또한 직무발명은 특허발명을 진흥하기 위한 제도로서 바로 위 발명진흥법이 규정하고 있으며, 발명진흥법상 종업원, 법인의 임원 또는 공무원이 그 직무에 관하여 발명한 것이 성질상 사용자, 법인 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업무범위에 속하고 그 발명을 하게 된 행위가 현재 또는 과거의 직무에 속하는 발명입니다. (발명진흥법 제2조 제2).

 

 

 

개인발명이란 직무발명이외의 발명으로서 사용자의 업무범위에도 속하지 아니하고 종업원의 직무와도 관련이 없는 발명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무엇보다도 기준이 되는 것은 파견근로자가 일한 그 성과물이 누구에게 귀속하는 것인지를 가장 큰 기준으로 해야 할 것 입니다.

 

또한 위탁개발과 관련하여서도 당사자관계에서 계약에 명시되지 않으면 위탁관계나 고용관계냐가 역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회사의 이사의 경우에도 이사회의 승인 없이 직무발명에 대한 권리귀속을 약정할 수 있는지 문제될 수 있습니다.

 

회사의 이사는 경업금지 의무나 자기거래 금지의무를 지고 있으므로, 업무에 관련된 발명과 그를 이용한 일련의 행위가 상법에 의하여 제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방적인 권리귀속약정은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권오갑 변호사와 함께 지식재산권 분쟁 직무발명 중심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는데요. 특허권 관련한 법적인 문제가 발생한 경우 특허권 관련 법률가의 조력을 받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할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