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작권/저작권

저작권 침해 관련 법령 사례 알아보기!

by 권오갑변호사 2018. 12. 21.

저작권 침해 관련 법령 사례 알아보기!

 

저작권과 관련된 분쟁은 생각보다 많은 편인데요. 지적재산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자신의 저작권을 누군가 침해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저작권 침해 관련 법령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관련된 사례는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는 것이 좋을것입니다. 디자인, 소설, 음악, 작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작권을 확보하고 지켜야 하므로 저작권 침해 관련 법령을 파악하고 사례 통해 대응 전략도 세워보도록 하겠습니다.

 

 


 

 

A는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고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해당 캐릭터는 저작권 등록이 되어 있는 상태였는데요. 그리고 B는 과거 해당 캐릭터 상품의 대리상과 캐릭터 관련 사용허가계약을 체결했지만 사용허가계약 유효기간은 만료가 되었고 내용에 있어서도 이미 장난감부터 판매하는 채널이나 캐릭터의 숫자까지 계약서상의 허가 범위를 벗어난 사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장난감을 판매한 ㄱ회사는 해당 장난감을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를 했고 ㄱ는 A와 캐릭터 관련 사용허가계약을 이행한 적도 없었습니다. B가 저작권자 A의 허락을 받지도 않고 캐릭터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한 것과 함께 ㄱ사가 저작권 허락을 구하지 않고 이미지 전시, 판매 등의 행위는 저작권 침해 관련 법령을 위한한 사실이기에 손해배상 청구를 제기하고 권리침해행위를 중단하는 것을 법적으로 요청했습니다.

 

저작권 침해 관련 법령에 따라 해당 저작물을 저작권자에게 허락을 구하지 않고 마음대로 사용하고 판매한 행위는 저작권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때 침해한 사실의 범위를 판단하는 과정이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데요. A는 캐릭터의 라인과 색체 그리고 조합을 고려해서 창조성을 갖춘 캐릭터로 미술저작물 해당으로 저작권법 보호를 받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캐릭터에 대한 저작권은 B와 ㄱ사는 사용 허가를 구하지도 않고 생산하고 판매하고 복제권과 발행권을 침해한 사실이 존재하는데요. 더군다나 인터넷에 개재하여 판매까지 한 사실은 저작권자에게 손해를 입힌 것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권리 침해 사실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고 불법 소득을 취한 것에 대한 책임까지 진행해야 한다고 법원은 판단했습니다.

 

A의 이미지를 무단으로 사용해서 장난감을 만들고 판매한 사실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저작권 관련 법령에 위반 행위를 한 것으로 파악되는데요. 이에 저작권자 A에게 B와 ㄱ사는 약 3천만 원의 배상을 해야 하며, 판매를 당장 중지해야 한다고 판결을 내렸습니다.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관리해야 할 의무가 있는 상황에서 대처하는 부분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더군다나 상대방이 복제하고 유사하게 만들어 판매한 사실을 밝히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데요.

 

 

 


 

저작권 침해 관련 법령 사실을 인지하고 어떤 대응을 해야 할지 살피는 과정이 복잡하기에 더더욱 혼자가 아닌 변호사의 도움이 뒷받침 되는 것이 나은 결과로 접근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개개인이 접근하기에는 관련된 사실을 인지하고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데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유사한 사실, 침해한 사실을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이 효율적인 대응 방안이 될 수도 있습니다.

 

위와 같은 사례에서 알수 있듯 판결 과정에 있어서 유사한 부분이나 캐릭터의 특징을 살피는 것은 저작권 분쟁에서 굉장히 핵심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권오갑 변호사는 저작권 침해 관련 법령에 대해 이미 다수 경험이 있습니다. 개개인이 접근하는데 한계를 느낄 수 있는 사항이기에 더더욱 관련된 법적 지식이나 경험이 갖춰진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혼자서 풀어나가려다 해결 방법을 찾지 못해 힘들어 하지 말고 법적 지식이나 경험이 다양한 변호사와 충분한 상담 후 근거를 확보하고 논리적으로 풀어나가는 것이 나은 결과로 나아가는 지름길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